그리스도의 삼직무론

책명

그리스도의 삼직무론

저자

허호익

출간일

1999년 4월 20일

사양

170쪽/신국판

ISBN

89-398-0128-8

정가

10,000

‘예수 그리스도를 누구로 고백하느냐?’는 것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한국교회에서는 ‘예수믿으면 천당간다’거나, ‘예수믿으면 축복받는다.’는 극히
단순하고 개인구원적인 기독론이 교파를 막론하고 모든 기독교인들의 신앙의식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이런 기독론적 신앙 유형은 과연 성서적인 것일까?
성서에 기초하고 전통적인 교의를 창조적으로 계승한 신학적인 주장만이 다수의
기독교인들을  설득할 수 있고 비기독교인들의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다.
종교개혁자 칼빈에 의해 새롭고도 체계적으로 전개된 삼직무론은 기독론의 어떤
주제보다도 성서적이며 통전적이고 ‘그리스도으 직무’에 비추어 ‘그리스도인의
직책’을 함축하고 있는 실천적인 정통교의임에 틀림없다.
‘예수가 누구이며 무엇을 하시고 어떻게 사셨는지’를 알고 싶어하는 이들과 예수를
따르는 ‘우리는 어떻게 무엇을 하며 살아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모든 분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연세대학교 신학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M.)
장로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연세대학교 대학원(Th.D.,조직신학 전공)
연세대학교 백낙준 명예총장 비서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남대학교등 강의
현 대전신학교 교수
현 새벽교회 협동목사

저서
성서의 앞선생각1
예수의 사상과 역사적 배경
기독교의 역사

머리말 = 3
Ⅰ. 예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사셨는가? = 9
1. 한국교회의 여러 기독론과 그 쟁점 = 9
2. 삼직무론의 성서적 실천적 통전적 성격 = 17
3. 삼직무론에 대한 여러 해석과 비판 = 21
4. 삼직무론의 정치신학적 해석의 필요성 = 32
Ⅱ. 삼직무론의 교리사적 고찰 = 35
1. 칼빈 이전의 삼직무론 = 35
1) 칼빈 이전의 그리스도의 직무론 = 35
2) 루터의 이직무론과 이왕국론 = 44
2. 칼빈의 삼직무론 = 55
1) 칼빈의 삼직무론의 발전 과정 = 56
2) 칼빈의 삼직무론과 신정정치론 = 64
3. 삼직무론의 교리적 수용과 비판 = 82
1) 신앙고백서와 신앙문답서에 나타난 삼직무론 = 82
2) 개혁교 정통주의의 삼직무론 = 86
3) 루터교 정통주의의 삼직무론 = 94
4) 개신교 정통주의의 삼직무론에 대한 비판 = 105
Ⅲ. 삼직무론에 대한 현대신학의 비판과 새로운 해석 = 115
1. 현대신학의 삼직무론 비판 = 115
1) 삼직무론의 내용적 비판 = 115
2) 삼직무론의 방법론적 비판 = 122
2. 현대신학의 삼직무론의 새로운 해석 = 129
1) 신비적 해석 = 129
2) 화해론적 해석 = 138
3) 실존론적 해석 = 151
4) 교회론적 해석 = 159
3. 한국신학과 삼직무론 = 166
1) 토착화신학의 삼직무론 = 166
2) 민중신학의 삼직무론 = 171
Ⅳ. 삼직무론의 쟁점과 정치신학적 해석의 과제와 방법 = 177
1. 전통적 삼직무론의 신학적 쟁점 = 177
1) 그리스도의 영적 영원한 통치 : 이왕국론 문제 = 177
2) 제물이 되신 제사장 : 희생제사의 비신화화의 문제 = 182
3) 완전한 진리를 계시하신 예언자 : 진리와 실천의 문제 = 186
2. 현대 기독론의 쟁점과 삼직무론 = 189
1) 역사적 예수와 그리스도 : 아래로부터의 삼직무론 = 190
2) 하나님의 아들인 그리스도 : 성육신의 비본체론적 해석과 삼직무론 = 194
3) 구세주인 그리스도 : 구원의 비시원적 해석과 삼직무론 = 198
3. 삼직무론의 정치신학적 해석의 과제와 방법 = 204
1) 정치신학의 개념 = 204
2) 삼직무론의 정치신학적 해석의 과제와 방법 = 210
Ⅴ. 삼직무론의 정치신학적 해석의 성서적 기초 = 213
1. 구약성서의 기름부음 받은 자들의 직무 = 213
1) 구약성서의 ‘기름부음을 받은 자들’ = 214
2) 야훼종교의 제의와 제사장의 직무 = 217
3) 이스라엘의 왕정과 왕의 직무 = 224
4) 야훼의 말씀과 예언자의 직무 = 229
2. 예수 시대의 메시야 전승과 예수의 메시야 선교 = 239
1) 예수 시대의 메시야 전승 = 240
2) 예수의 메시야적 선교의 삼중적 성격 = 248
Ⅵ. 삼직무론의 정치신학적 이해 = 261
1. 언행일치의 예언자 = 261
1) 자유하게 하는 진리를 가르치신 예언자 = 261
2) 자유하게 하는 진리 자체이신 예언자 : 성육신 = 271
2. 죄인과 함께하신 제사장 = 281
1) 죄인과 더불어 사신 제사장 = 282
2) 죄인을 위하여 죽으신 제사장 : 십자가 = 290
3. 섬기러 오신 왕 = 301
1) 하나님 나라의 섬김의 통치를 성취하신 왕 = 302
2)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통치를 선취하신 왕 : 부활 = 313
Ⅶ. 남은 과제와 전망 = 323
1. 그리스도가 하신 일 세 가지 = 323
2. 삼직무론의 정치신학적 해석의 의의 = 326
3. 남은 과제와 전망 = 329
1) 죄와 구원의 삼중적 의미 = 329
2) 교회의 사명과 그리스도인의 역할의 삼중적 의미 = 331
참고문헌 = 337